전체 글

dev / indie film / web log 2018.10.09.1:20AM
· Diary
하고싶은 것이 있고, 되고 싶은 것이 있기에 빛이 난다. 때론 하는 것에 의문이 들고, 이 길이 맞나? 싶기도 한다. 그럼에도 나아간다. 간혹 의문이 강하게 짓누를 땐 작품을 다시 보자. 사람은 시점을 살아간다. 작품에서 그 시점에 그 순간에 그 인물과 (또는 내가) 오랜 시간 존재할 수 있다는 게 이 작업의 매력이다. 오랜시간 좀 더 자주 관찰하고, 느끼고, 상상하고, 듣자. 끊임없이 만들어내자. 청춘에 대해 이야기하자. 이건 성별과 나이를 가리지 않더라. 좀 더 나에 대해 관찰하고 녹여내자. 짧은 인생을 채운 대부분의 시간이 그러했다. 지향하는 것을 기억하자. 톤앤매너에 더 신경을 쓰자.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순간 몰입이 깨진다.
· Diary
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 때에는 지켜지지 않을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열심히 블로그에 글도 자주 쓰려고 했는데 참 쉽지가 않다ㅎㅎ 정량적 평가를 위한 공부들, 한 가득 쌓여있는 장학서류, 모든 공부와 일이 끝나고 주말과 밤을 이용한 개인 프로젝트, 틈을 내서 논문도 많이 읽어봐야하고, 때로는 자극을 위해 차별없이 다양한 작품들도 감상하고~ 그러다보면 연기처럼 날아가는 아이디어들이 아깝기도 하고 이로 인해 공상하다가 머리가 복잡하면 일에 집중이 안되니까 머리를 깨끗이 비우기 위해 Evernote와 네이버메모에 정리도 하고.. 그런데 정리까지 끝나면 내 에너지가 바닥이 되고 하루를 마감하는데, 글 작성을 위해 억지로 짜내긴 싫으니까 미뤄두고 있다. 개발아카이브, 게임분석, 감상하고 나에게 도움이 되었던 서브컬쳐..
· Diary
존 포드 데이비드 린치 파벨만스 스티븐 스필버그.
· Diary
우리는 관람차에 가만히 앉아 무슨 일이 벌어지길 가만히 기다리는 어린아이처럼 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. 우린 각자에게 주어진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선택하고, 행동하고, 또 그 행동에 책임을 진다. (베르나르 베르베르)
· Diary
- 지금 하고 있는 to do list도 좋지만 not to do list도 신경써보자. -기획 : '어떻게 하면 되지?" -> 방법/ 실행/ 효과 / 제목/ 부제목/ 목표/ 2차목표/ 논리적 근거/ 제정/ 현재상태/ 실행. - 목표를 정하고 하향식 X , 데이터를 많이 쌓아가다보면 목표가 잡힌다. 자기것을 모은 다음에 귀납식으로 제목을 만든다. 생각을 계속 정리해 나간다. 1차목표를 진행하다보면 3차목표일때는 전혀 다른 사업이 될 수 있다. Pain point찾기. 사람들은 익숙한 것을 더 편하게 만드는 것보다 불편한 것을 개선한 것을 선호한다. 생각의 구조화 -> 단어를 나열해서 단문 만들고 이를 문단으로 만들어 모으면 사업계획서가 만들어진다. 우리 회사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? : 미션과 비전 니체 ..
· Diary
늘 새로운 사람들과 새로운 작업을 하는 장점.
AHNTALE
AHNTALE SPACE